사랑하는 반려견에게 마음 약한 보호자들은 항상 내가 먹는 이 음식을 줘도 될지 고민하게 된다.
무언가를 먹고 있는 내 옆에서 애처롭게 쳐다보는 눈망울을 보고 있자면 자꾸만 마음이 약해지고는 한다.
하지만 반려견들의 위와 장은 사람보다 소화능력이 부족하므로 사랑하는 마음으로 먹인 음식들이 반려견의 건강을 위협하기도 한다. 때문에 반드시 반려견에게 주어서는 안 될 음식을 미리 알아두고 급여하도록 하자.
1) 초콜릿
반려견을 키우는 보호자라면 절대 초콜릿을 먹여서는 안 되는것을 알 고 있을 것이다.
초콜릿 안에 들어있는 카페인과 테오브로민이라는 성분은 반려견의 몸에 독이 되어 중추신경계와 심장계에 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섭취 시 수시간 내에 구토와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며 다량섭취 시 근육 떨림과 같은 경련증상과 심장박동수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등 불규칙한 심장소리가 날 수 있고 기절, 심장정지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초콜릿의 섭취량에 상관없이 반려견에게 매우 위험한 음식이기 때문에 초콜릿을 섭취한 사실을 알았을때는 바로 동물병원에 내원하여 초콜릿이 체내에 흡수되기 전에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구토유발로 초콜릿을 체외로 배출해야 한다.
직접 가정에서 초콜릿을 뱉어내게 하려고 섣불시 시도할 경우 토사물로 인한 질식 및 폐렴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시 병원을 방문해 조치를 받아야 한다.
2) 포도, 씨가 있는 과일
과일의 경우 반려견에게 해로운 성분이 들어있는 종류가 다양하므로 반드시 급여 전에는 충분한 검색 후 급여하는 것을 권장한다.
반려견에게 먹여서는 안 되는 과일로 가장 알려져 있는 것은 '포도'이다.
포도를 섭취했을 시 아주 소량으로도 신장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급성 심부전에 걸릴 수 있으므로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 건포도 또한 포함이기 때문에 보호자가 먹던 빵이나 샐러드를 섭취하는 일이 없도록 반려견의 닿을 수 없는 곳에 보관해야 한다.
이 외에 큰 씨가 있는 과일류도 반려견이 먹지 못하도록 한다.
복숭아, 자두와 같은 과일을 섭취했을 때 커다란 끝이 뾰족한 씨를 그대로 삼키게 되면 목에 걸리거나 장기에 상처를 낼 수 있으며 또한 쉽게 배출되지 않아 장폐색까지 이어질 수 있다. 심할 경우 개복수술로 제거해야 할 가능성도 있으니 반드시 강아지에게 씨를 포함한 과일을 급여하지 않는다.
3) 매운맛이 나는 채소 (양파, 파, 마늘 등)
매운맛이 나는 채소들 양파, 파, 마늘, 부추 등의 채소들에는 섭취 시 반려견의 적혈구를 파괴하는 성분이 들어있다.
위 채소들을 섭취하였을 때 빈혈로 인한 식욕부진과 체중감소, 무기력함이 나타날 수 있다. 심할 경우 수혈이 필요한 증상까지 이어질 수 있으므로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보통 사람이 먹는 음식을 섭취했을 때 자연스럽게 먹게 되어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4) 익힌 닭뼈
삼계탕이나 치킨을 먹을 때 애처롭게 쳐다보는 반려견에게 다리 하나를 주거나 뼈를 버려둔 쓰레기통을 밤이나 보호자가 외출 한 사이에 반려견이 뒤져 뼈를 섭취하는 일이 꽤 발생한다.
하지만 생고기를 건조하여 급여하는 뼈간식과는 다르게 익힌 닭의 뼈는 부서졌을 때 단면이 아주 날카로우며 이를 반려견이 그냥 삼키게 되었을 때 장기에 출혈을 유발할 수 있으며 천공이나 장폐색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반려견의 크기나 섭취양에 따라 배변활동을 통해 배출될 가능성도 있지만 반려견이 익힌 닭뼈를 섭취했다면 병원에 내원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다.
5) 우유
반려견에게는 우유 안에 들어있는 유당을 분해하는 효소가 있지 않기 때문에 사람이 먹는 우유를 섭취 시 구토나 설사,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반려견에게는 반드시 반려동물 용 락토프리 우유를 먹여야 한다.
아기동물을 구조했을 경우 많은 초보 반려견, 반려묘 보호자들이 우유를 급여하는 경우가 있는데 반드시 반려동물을 위한 우유를 구매하여 급여하는 것이 좋다.
'반려동물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 눈에 노란눈곱이 생겼다면? / 원인과 질병의 종류 (2) | 2023.02.07 |
---|---|
반려견에게 보약이 되는 음식 10가지 / 종류와 효능 (0) | 2023.02.06 |
반려견 목에서 거위 소리가 나요 / 기관지협착증 / 증상, 관리 방법 (0) | 2023.02.05 |
강아지가 구토, 점액질 혈변을 봤어요 / 장염 / 증상과 예방방법 (0) | 2023.02.04 |
강아지 중성화 꼭 필요할까? / 중성화의 장점 / 시기, 관리 (0) | 2023.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