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을 처음 키우는 견주라면 슬개골이라는 단어가 낯설게 느껴질 수 있다.
국내 반려견들의 대다수가 가지고 있는 슬개골탈구 증상은 반려견의 나이가 아주 어릴 때부터 발견되며 반려견의 건강을 위해 견주의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슬개골탈구'란?
슬개골이란 반려견의 허벅지뼈와 정강이뼈 사이 즉, 무릎 관절 연골사이에 존재하는 작은 뼈이다.
반려견의 다리를 가볍게 쭉 잡아당겼을때처럼 일상적인 가동범위에서 이 슬개골이 제 위치에서 벗어난다면 슬개골 탈구증상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슬개골탈구 증상은 특히 실내에서 생활을 하는 말티즈, 푸들, 포메라니안, 보스턴테리어 같은 소형견에서 자주 나타난다.
슬개골탈구의 원인
슬개골탈구의 가장 큰 원인은 유전적인 이유를 꼽는다. 유전적으로 슬개골 주위의 관절이 탈구되기 쉽게 형성되어 1~2살의 어린 강아지들에게서 쉽게 발견되며 수술로도 이어진다.
또한 미끄러운 바닥에서 신나게 뛰어놀다가 탈구가 발생하거나 무릎에 큰 충격이 가해지는 등 외상으로 인한 슬개골탈구도 있을 수 있다.
조기에 관리하지 않으면 수술시기를 놓쳐 이미 뼈가 마모되거나 십자인대 부상 등의 추가적인 상황에 놓일 수 있으니 증상을 보이지 않더라도 동물병원 방문을 할 때마다 확인하는 것이 좋다.
슬개골탈구의 증상들
- 반려견이 산책 중 뒷다리를 절거나 한 발로 깽깽이 걸음을 걷는다.
- 반려견의 뒷다리를 만지려고 하면 이를 드러내거나 피하며 예민하게 반응한다.
- 무릎이 과도하게 밖으로 벌어진 자세로 앉는다.
- 소변을 볼때 평소와 다르게 한 쪽 다리를 어색하게 들고 불편한 자세로 본다.
- 반려견이 걸을 때 무릎에서 소리가 난다.
- 산책 시 오래 걷지 못하고 안아달라고 보챈다.
- 실내에서 신나게 뛰어놀고 난 후 갑자기 다리를 절기 시작했다.
- 평소에 잘 오르내리던 계단이나 소파, 침대를 기피한다.
슬개골탈구의 진행 단계
1기 : 평상시에는 슬개골이 원위치에 있으며 인위적인 힘을 가했을 때 슬개골이 빠지지만 본래 위치로 금방 돌아오는 단계로 견주가 알아차릴 수 있는 증상이 크게 없으며, 반려견도 큰 불편을 느끼지 못해 주의 깊게 보지 않으면 발견이 쉽지 않다.
증상이 없어도 동물병원 검진이 필요한 단계
2기 : 1기와 비슷하게 평상시에는 슬개골이 제 위치에 있으나 인위적인 힘으로 관절을 잡아당겼을 때 슬개골이 제 위치로 돌아가지 않으며 관절에서 뚝뚝 소리가 날 수 있다. 반려견이 통증을 느낄 수 있는 단계
3기 : 평상시에도 슬개골이 빠져있는 단계. 인위적인 힘으로 제 위치로 맞출 수 있지만 육안으로 반려견의 뒷다리 정강이뼈가 돌아가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기 : 슬개골이 평상시에도 빠져있는 상태로 제자리로 맞춰지지 않으며 반려견이 뒷다리를 바닥에 딛거나 걷는 것을 기피하는 단계. 뒷다리를 굽히고 있으며 다리를 쭉 펴는 것을 고통스러워한다.
통증을 쉽게 드러내지 않는 반려견들의 특성상 초기에 발견하기 쉽지 않아 이미 다리를 절기 시작한 3기 이후 발견하게 된다면 수술적인 조치가 필요하므로 어린 강아지라도 견주의 세심한 관찰과 관리가 필요하며, 동물병원에서 지속적인 탈구증상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슬개골탈구 예방방법
- 미끄러운 바닥을 뛰어다니지 않게 할 것 - 실내에 매트나 카펫을 깔아 반려견의 무릎에 부담을 주지 않는 환경조성
- 두 발로 서서 점프하는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할 것 - 반려견이 점프할 때 칭찬은 금물
- 푹신한 침대나 소파 위여도 반려견을 던지듯 내려놓지 말 것 - 관절에 무리를 주는 행동은 하지 않는다
- 과체중이 되지 않게 체중관리
- 침대나 소파에 반려견용 계단이나 오르막 설치
- 과격하지 않은 운동으로 다리 근력 키우기
주로 노견들에게서 발견되는 질병들과 달리 슬개골탈구는 국내 반려견들의 70%가 겪고 있다 불릴 만큼 어린 강아지들에게서도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 증상이기 때문에 견주들의 세심한 관찰을 필요로 한다.
뛰고 싶은 욕구가 많은 반려견들의 관절문제는 내 아이의 행복지수에도 연관이 있기 때문에 예방접종이나 미용처럼 동물병원에 방문하게 되는 경우 반드시 가벼운 진료로 관리하는 것을 권장한다.
'반려동물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 심장사상충약 겨울에도 먹여야 하나요? / 증상, 예방및 치료 (0) | 2023.02.01 |
---|---|
매일 잊지말아야 할 루틴 반려견 '칫솔질' / 해야하는 이유, 방법 (2) | 2023.01.31 |
반려견 가슴에서 혹이 만져져요 / 강아지 유선종양 / 증상 및 치료 (0) | 2023.01.30 |
내 반려견의 일상을 망치는 '백내장' / 증상과 치료, 예방방법 (2) | 2023.01.29 |
반려견 건강검진을 해야하는 이유 / 항목, 비용, 증상 (0) | 2023.01.27 |
댓글